개념기반 탐구수업으로 영어의 깊이있는 이해를!
서울 방현초 전 유소미
1. 시작하며
Chat GPT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 속에서 미래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학생이 갖추어야 할 역량이 무엇인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이에 대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교에서 배운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 등을 융합하여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줄 아는 전이로서의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새로운 상황과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학습자는 자신의 삶과 연계한 학습 문제를 다루며 학습의 질을 높이고, 자신의 학습 과정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교과 간 연계를 통한 통합적 사고를 발휘하면서 깊이 있는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깊이 있는 학습에 대한 방법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것이 L. Erickson(2008)이 제안한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Concept-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이다. 이 교수·학습 방법은 학습자가 깊이 있는 이해를 형성하도록 돕는 교육 접근법으로, 수업에서 단순히 사실적 지식을 배우는 것에 그치지 않고 학습한 지식의 개념화를 통해 이해하는 사고 방법(conceptual understanding)을 강조한다. 즉, 사실적 지식과 기능의 습득만으로는 자기 삶 속에서 부딪치는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적 지식을 개념적 지식으로 바꾸고 이를 새로운 상황에도 옮겨와 활용할 수 있는 ’전이 능력‘을 기르는 것에 주목한다.
2. 2차원적 교육과정과 3차원적 교육과정
<그림 1> 주제/기능 기반의 2차원적 교육과정(좌) 개념 기반의 3차원적 교육과정(우) (L. Erickson, 2008)
개념기반 탐구수업은 교과의 내용을 ’사실적 지식과 기능‘과 더불어 ’개념‘, ’일반화 및 원리‘로 구성하는 3차원 교수·학습 모델에 기반한다. 즉, 개념기반 탐구수업은 교과의 사실적 내용과 정보, 기능의 습득이 목표가 되는 기존의 2차원적 교육과정과 달리, 이를 도구로 사용하여 교과 내용과 초학문적인 문제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학습한 내용을 전이하는 데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또한, 학습자가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학생 주도의 탐구를 통해 스스로 의미를 구성하고, 주어진 내용을 개념적으로 이해하여 자신의 삶과 연결 지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학생의 깊이 있는 이해를 돕기 위한 개념기반 탐구학습의 특징은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1> 개념기반 탐구학습의 주요 특징
3. 영어과 개념기반 탐구학습의 설계와 적용
영어 수업을 위한 개념기반 탐구학습은 교과 초월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설계할 수 있는데, 언어 학습의 4가지 주요 목표 – 즉, 이해하기, 반응하기, 비판하기, 산출하기의 과정에 따라 진술된다.
본 교사가 초등학교 6학년 대상으로 대교(이재근 외) ’Lesson 7. We Should Wear a Helmet‘과 ’Lesson 11. Why Are You Happy?’를 통합하여 설계한 단원 그물은 다음과 같다.
<그림 2> 영어과 개념기반 탐구학습 설계안
본 수업은 ‘기후 위기와 환경 보호’를 주제로 ‘sustainability’와 ‘communication’을 개념적 렌즈로 설정하여 설계한 수업이다. 학습자들은 생태전환을 주제로 한 수업 상황에서 기후 위기와 관련한 영상을 시청하며 ‘See-Think-Wonder’라는 사고 전략 도구를 활용하여 앞으로 자신이 탐구할 내용을 만나고, 본 단원에서 익혀야 할 언어 표현의 필요를 탐색한다. 이후, 다양한 짧은 글을 읽으며 조동사 ‘should’와 접속사 ‘because’가 문장 속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떤 문장 형식을 갖추는지를 발견하게 된다. 이때, 교사는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개념적으로 이해하고 전이할 수 있도록 언어 지식과 기능 – 즉, 조동사 ‘should’와 접속사 ‘because’의 역할과 형태를 익히는 구조화된 연습과 피드백을 필수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다음은 본 수업에서 사용한 개념기반 탐구 사고 전략 및 활동 자료이다.
<그림 3> 본 수업에 사용한 개념기반 탐구 사고 전략
교사는 학습자가 자신이 발견한 언어 규칙을 정리 및 종합하여 의미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안내 질문(guiding questions)을 던져 탐구를 이끌어야 한다. [그림 2]의 언어 학습의 과정에 따라 사용한 안내 질문을 사실적 수준과 개념적 수준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표 2> 개념기반 탐구학습에서 사용한 안내 질문
탐구 단원의 마지막 단계로 학생들은 최종 과제로 자신이 발견한 언어 규칙과 학습한 내용을 활용하여 지구 온난화 문제를 함께 해결하자는 설득하는 글을 쓰게 된다. ‘RAFTS’로 설계한 본 단원의 총괄 평가과제는 <표 3>과 같다.
<표 3> 본 수업에서 사용한 총괄 평가 과제
4. 마치며
모든 교육 활동의 궁극적 목표는 학습한 내용을 새롭고 다양한 상황에 전이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데에 있을 것이다. 3차원적 개념기반 탐구학습은 의사소통 기능 주제별로 표현을 익히는 것을 넘어 다양한 주제 및 교과를 통합한 수업 상황에서 언어적 지식과 기능을 학습하고, 자신의 삶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게 한다는 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바와 일맥상통한다.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 과정에서 주인으로 참여하여 학습의 질과 깊이가 더해질 수 있도록 개념기반 탐구학습을 적용한 영어과 수업 사례가 더욱 늘어나길 기대한다.